대전·충남 행정통합, 대한민국 초광역 경제권의 새 지평 연다
민관협 전문가 30명으로 구성으로 자치단체 명칭을 포함 법률 추진
대전시와 충남도가 35년 만에 다시 하나로 뭉칩니다. 대한민국의 초광역 경제권 구축을 목표로 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이 본격화되며, 수도권 중심의 경제구조를 극복할 초광자치단체 출범에 한걸음 다가섰다.
24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출범식은 통합 추진의 실질적 시작을 알리는 의미 있는 자리다. 이날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를 비롯해 지역 각계 대표 5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과 기대를 보여줬다.
민관협의체, 통합의 주춧돌 놓다
민관협의체는 지역 광역의회 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 경제·사회단체 대표, 학계 전문가 등 총 30명으로 구성었다. 이들은 통합 자치단체의 명칭, 청사 위치, 기능·특례 등 주요 쟁점을 담은 통합 법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전·충남은 내년 상반기까지 법률안을 양 시·도에 제안하고, 중앙부처 및 국회와 협의를 통해 2026년 7월 통합 지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한다.
출범식에서 김태흠 충남지사는 "충남과 대전의 통합은 시·도민의 의사가 최우선"이라며, "민관협의체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통합 추진의 중심 역할을 할 것"을 당부했다. 이장우 대전시장도 "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수도권에 버금가는 경쟁력을 갖춘 대한민국의 새로운 축을 형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통합의 비전: 초광역 경제권 구축
이번 통합이 실현되면 대전·충남은 인구 358만 명, 재정 규모 17조 3439억 원, 지역내총생산(GRDP) 191조 6000억 원 등 여러 면에서 전국 상위권에 오르는 초광역 경제권으로 자리매김한다. 또한, 수출액 기준 전국 2위, 무역수지 1위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양 지역은 통합을 통해 충청광역연합 , 2027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충청권 제2외곽 순환고속도로 등 초광역 사업을 공동 추진하며, 수도권 중심의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균형발전을 이끌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충청권 통합의 기폭제
김태흠 지사는 이번 통합이 충청권 전체의 통합으로 확장될 수 있는 첫 단추임을 강조했습니다. 충청권 4개 시도가 느슨한 연합체 형태의 ‘충청광역연합’을 구성한 데 이어, 대전·충남 통합이 세종·충북과의 통합으로 이어져 560만 명 규모의 단일 경제권을 형성하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충청권은 국내에서 수도권에 버금가는 핵심 경제 축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초광자치단체, 대한민국 미래의 중심으로
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단순히 지역의 경계를 넘어 대한민국 경제와 행정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중대한 전환점입니다. 민관협의체가 마련할 통합 법률안은 미래를 선도할 초광역 경제권의 기반이 될 것이니다.
시·도민의 지혜와 뜻을 담아 추진되는 이번 통합은 지역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전국 어디서나 잘 사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으로 희망한다.
충남에서는 이재완 호서대 교수, 황석준 공주대 교수, 김석곤·양경모·편삼범 도의회 의원, 최원철 공주시장, 박범인 금산군수, 최재구 예산군수, 김행금 천안시의회 의장, 서영훈 당진시의회 의장, 김기윤 금산군의회 의장, 문상인 충남북부상공회의소 회장, 김원필 한국청년네트워크 회장, 강성기 도 기획조정실장(당연직) 등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대전 위원으로는 최진혁 대전시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박충화 대전대 부총장, 최호택 배재대 교수, 원구환 한남대 교수, 정명국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정문현 충남대 교수, 변승환 대전대 교수, 김종삼 김종삼약국 대표, 김도진 대전보건대 교수, 권오철 중부대 교수, 이진영 대전 중앙청과 중도매인조합장, 최석화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지회장, 차형철 씨에이치씨랩 대표, 한치흠 시 기획조정실장(당연직) 등이 참여했다.

김동수 - 공익방송뉴스네트웍 /세종FM98.9MHz 한밭FM93.7MHz -
대전·충남 행정통합, 대한민국 초광역 경제권의 새 지평 연다
민관협 전문가 30명으로 구성으로 자치단체 명칭을 포함 법률 추진
대전시와 충남도가 35년 만에 다시 하나로 뭉칩니다. 대한민국의 초광역 경제권 구축을 목표로 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이 본격화되며, 수도권 중심의 경제구조를 극복할 초광자치단체 출범에 한걸음 다가섰다.
24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출범식은 통합 추진의 실질적 시작을 알리는 의미 있는 자리다. 이날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를 비롯해 지역 각계 대표 5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과 기대를 보여줬다.
민관협의체, 통합의 주춧돌 놓다
민관협의체는 지역 광역의회 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 경제·사회단체 대표, 학계 전문가 등 총 30명으로 구성었다. 이들은 통합 자치단체의 명칭, 청사 위치, 기능·특례 등 주요 쟁점을 담은 통합 법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전·충남은 내년 상반기까지 법률안을 양 시·도에 제안하고, 중앙부처 및 국회와 협의를 통해 2026년 7월 통합 지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한다.
출범식에서 김태흠 충남지사는 "충남과 대전의 통합은 시·도민의 의사가 최우선"이라며, "민관협의체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통합 추진의 중심 역할을 할 것"을 당부했다. 이장우 대전시장도 "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수도권에 버금가는 경쟁력을 갖춘 대한민국의 새로운 축을 형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통합의 비전: 초광역 경제권 구축
이번 통합이 실현되면 대전·충남은 인구 358만 명, 재정 규모 17조 3439억 원, 지역내총생산(GRDP) 191조 6000억 원 등 여러 면에서 전국 상위권에 오르는 초광역 경제권으로 자리매김한다. 또한, 수출액 기준 전국 2위, 무역수지 1위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양 지역은 통합을 통해 충청광역연합 , 2027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 충청권 제2외곽 순환고속도로 등 초광역 사업을 공동 추진하며, 수도권 중심의 일극체제를 극복하고 균형발전을 이끌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충청권 통합의 기폭제
김태흠 지사는 이번 통합이 충청권 전체의 통합으로 확장될 수 있는 첫 단추임을 강조했습니다. 충청권 4개 시도가 느슨한 연합체 형태의 ‘충청광역연합’을 구성한 데 이어, 대전·충남 통합이 세종·충북과의 통합으로 이어져 560만 명 규모의 단일 경제권을 형성하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충청권은 국내에서 수도권에 버금가는 핵심 경제 축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초광자치단체, 대한민국 미래의 중심으로
대전과 충남의 통합은 단순히 지역의 경계를 넘어 대한민국 경제와 행정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중대한 전환점입니다. 민관협의체가 마련할 통합 법률안은 미래를 선도할 초광역 경제권의 기반이 될 것이니다.
시·도민의 지혜와 뜻을 담아 추진되는 이번 통합은 지역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전국 어디서나 잘 사는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기여할 것으로 희망한다.
충남에서는 이재완 호서대 교수, 황석준 공주대 교수, 김석곤·양경모·편삼범 도의회 의원, 최원철 공주시장, 박범인 금산군수, 최재구 예산군수, 김행금 천안시의회 의장, 서영훈 당진시의회 의장, 김기윤 금산군의회 의장, 문상인 충남북부상공회의소 회장, 김원필 한국청년네트워크 회장, 강성기 도 기획조정실장(당연직) 등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대전 위원으로는 최진혁 대전시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박충화 대전대 부총장, 최호택 배재대 교수, 원구환 한남대 교수, 정명국 대전시의회 행정자치위원장, 정문현 충남대 교수, 변승환 대전대 교수, 김종삼 김종삼약국 대표, 김도진 대전보건대 교수, 권오철 중부대 교수, 이진영 대전 중앙청과 중도매인조합장, 최석화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지회장, 차형철 씨에이치씨랩 대표, 한치흠 시 기획조정실장(당연직) 등이 참여했다.
김동수 - 공익방송뉴스네트웍 /세종FM98.9MHz 한밭FM93.7MHz -